본문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웹접근성 안내(센스리더 이용가이드)


펀드공시/서비스

'민간 중심 확대된 벤처투자'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

프라임경제 2025/04/24

[프라임경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출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스타트업의 해외 지원에 나선다.


24일 중기부는 서울 호텔 나루 엠갤러리에서 '2025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펀드 운영에 들어간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인공지능(AI) △바이오 △로봇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딥테크 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조성하는 벤처펀드다.

특히 정부가 손실 보전, 동반성장 평가 가점, 정부 포상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민간 투자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기존 모태펀드의 정부 출자 비중은 60% 내외였다. 반면 이번 펀드는 정부 30%, 민간 70%로 출자 구조를 재편했다. 이를 통해 정부 재정 부담은 줄이고, 민간 자금의 유치 효과는 2배 이상 확대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펀드 첫 해인 2024년에는 19개 민간 출자자와 정부 모태펀드가 각각 3260억 원과 2295억 원을 출자해 총 8733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결성 수개월 만에 AI·바이오·로봇 등 딥테크 분야 스타트업 20개사에 총 275억 원을 투자하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는 규모가 더 확대된다. 30개 민간 출자자가 2500억 원 이상을 출자한다. 정부도 1700억 원 이상을 매칭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약 6000억 원 규모의 벤처펀드가 새롭게 조성된다. 향후 2년간 조성된 펀드 총액은 약 1조5천억 원에 달하게 된다.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오영주 장관은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딥테크 분야별 생태계 구성원 간 오픈이노베이션 기회를 제공한다"며 "보다 많은 기업, 금융 기관이 벤처투자 시장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확대해 글로벌 딥테크 강국 도약을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출범식 이후 5월 중으로 2025년 출자사업 공고가 발표된다.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운용사 선정과 펀드 결성이 진행될 예정이다.